유엔평화기념관 기념사업
기념행사배경이미지

이달의 참전국

집이미지  >   기념사업  >   이달의 참전국

2023년 4월의 유엔참전국 남아프리카공화국
작성자 유○평 작성일 2023-04-04 조회수 638

 


2023년 4월의 유엔참전국 남아프리카공화국

2023년 4월의 유엔참전국 남아프리카공화국

선정 근거 : 비행출격  2,000회 돌파 1951년 4월 12일

  

6·25전쟁 당시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유엔참전국 22개국에서 195만7733명이 참전했습니다. 참전용사들의 용기와 활약은 지금의 대한민국을 있게 하였습니다. 유엔평화기념관은 뉴스1과 함께  2023년 정전 협정 70주년을 앞두고 ‘이달의 유엔참전국’ 연재를 통해 유엔참전국과 참전용사의 활약상을 조명하고 기억하고자 합니다. 많은 관심부탁드립니다.

 

 뉴스1 기사 바로가기

  

아프리카공화국(이하 남아공)은 우리와 외교 관계가 설정되어 있지 않았지만, 집단안보체제 유지라는 대의 아래 6·25전쟁 참전을 결정했습니다. 남아공은 6·25전쟁 발발 이후 한국에 대한 군사지원 결의안이 결정되자 즉시 이를 지지하는 성명(7월 1일)을 발표하였습니다. 그리고 해외 파병 합법화를 위한 긴급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그리고 남아공 공군 제2전투비행대대 파병을 결정하고 항공기와 장비는 미국에서 책임지기로 협의하였습니다.  

전투부대 파견을 선언하고 난 뒤,  지원자를 모집하여 최종적으로 제2전투전투비행대대(No.2 SAAF Squadron)가 한국으로의 파병을 준비하게 됩니다. 참전국 가운데 유일하게 공군만을 지원한 남아공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부터 ‘창공의 치타(Flying Cheetah)’라는 별명으로 제2전투비행대대의 용맹성을 확인받았는데, 6·25전쟁 참전을 위해 3500시간 이상의 비행경력을 가진 테론(S.V.B.Theron) 중령을 대대장으로 임명하고  206명이 남아공 공군을 준비시켰습니다. 참전자들은 49명의 장교와 157명의 부사관 및 병사들로 구성되었으며, 각 신체검사와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이들은 더반항을 출발하여 일본 요코하마에 도착하면서 6·25전쟁에 뛰어들게 됩니다. 

일본의 요코하마 지역의 비행기지(존슨기지)에서 예정된 F-51 무스탕기와 다양한 장비를 인수하고 미 제6002전술지원비행단에서 전쟁의 제반사항 설명을 듣고난 후 조종사들의 현지적응훈련을 시작하였고  장교 13명을 포함한 34명의 선발대를 편성하여 미 공군 수송편으로 부산 수영비행장에 베이스캠프를 옮기고 본격적인 전투에 참가하였습니다. 그리고 수영비행장을 시작으로 평양, 수원, 진행, 여의도, 횡성, 오산 등 최전방의 기지에 배치되어 후방차단·지상군 근접지원·전략폭격작전·적 보급로 차단 등의 다양한 작전에 투입되었습니다. 

이러한 남아공 부대의 전투는 신의주비행장 폭격과 그 이후 청정강 북쪽 초계 비행을 마지막으로 정전협정이 이루어지고 한국에서의 임무가 종료됩니다. 이후 남아공 대대는 교육훈련에 매진하다 9월 초부터 장병 14명으로 구성된 제1진이 본국으로 귀국했고, 9월 22일에는 제2진이 미 수송기 편으로 오산에서 출발하여 일본을 경유하여 귀국하였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3진이 10월 말에 귀국하기로 확정됨에 따라 10월 1일부터 일체의 훈련을 종료하고 미 비행단에 장비를 반납하기 시작했습니다.  10월 29일 잔류인원 전체가 오산비행장에서 귀국길에 오르게 되며 이것으로 한국에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6·25전쟁 참전 활동은 전체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남아공 공군은 전쟁 기간동안 연 95대의 F-51 무스탕 전투기와 20대의 F-86 전투기를 운용하며 총 12405회 출격하였고 전차 44대와 야포 221문, 대공표 147문, 보급품 등 각종 건물과 집적소 500여 개소 등을 파괴하며 유엔군의 공중전을 지원하였습니다. 

치열하게 유엔군의 공중전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던 남아공의 공군은 정전협정이 조인되자 비상대기와 교육 훈련에 주력하다가 9월 7일부터 여러 차례에 나누어 전투기를 미국에 반납하고 6·25전쟁을 마무리 지었습니다. 집단안보체제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공군 지원으로 그 역할을 다한 남아공은 총 11회의 대한민국 무공훈장과 미국 은성훈장 2회를 비롯하여 각종 훈장들을 수여 받으면서 자신들의 헌신을 증명하였습니다.